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20

거짓비늘증후군(Pseudoexfoliation syndrome, PEX, PXS)의 원인, 유전자, 특징, 진행 거짓 비늘증후군(Pseudoexfoliation syndrome, PEX, PXS)이란, 수정체, 홍채 및 눈의 전안부의 여러부위에 비정상적인 단백질 축적과 침착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이름에서부터 알수 있듯이, 이때 침착되는 물질은 거짓비늘물질(pseudoexfoliation material)이라고 합니다. 비늘(exfoliation)이란, 낙설이라고도 하며, 마찰에 의해서 표면에서부터 껍질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홍채와 수정체의 마찰로 인해서 홍채가 수정체 표면을 긁어서, 수정체 표면으로부터 수정체물질들이 껍질이 일어나듯이 일어나고, 이 물질이 떠다니는 경우를 진성비늘증후군(true exfoliation syndrome)이라고 합니다. 거짓비늘(pseudoexfoliation)이란,.. 2022. 7. 8.
색소녹내장, 색소분산녹내장(Pigment Dispersion Glaucoma)의 검사 소견, 증상, 치료 앞선 포스팅에 이어서 색소 녹내장(Pigmentary glaucoma) 과거 용어로는 색소분산 녹내장(Pigment Dispersion glaucoma)의 임상소견, 검사소견 및 치료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녹내장] - 색소녹내장(Pigmentary glaucoma, PG) 및 색소분산증후군(Pigment dispersion syndrome, PDS) 정의 의미 원인 기전 색소 녹내장에서는 수정체소대 부분이 홍채의 뒷부분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홍채의 뒷부분에서부터 홍채 색소가 유리되면서, 안구 전반에 퍼지게됩니다. 홍채를 관찰하면 방사상 모양으로 투시결손이 나타납니다. 즉, 홍채에서 색소가 탈락한 부분에는 빛의 투과가 많아 지므로, 그 부분이 투명하게 관찰 되게됩니다... 2022. 7. 7.
색소녹내장(Pigmentary glaucoma, PG) 및 색소분산증후군(Pigment dispersion syndrome, PDS) 정의 의미 원인 기전 색소분산증후군(PDS: Pigment Dispersion Syndrome)이란, 안구 전반부에 색소의 비정상적인 분산이 나타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원인 미상으로, 홍채의 뒷부분과 같은 짙은 색소들이 전방에 퍼지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아직 이러한 색소들로 인한 합병증 발생, 즉, 녹내장은 아직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주로 젊은사람(30대), 근시안, 남자에서 많이 발생하고,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인종적으로는 백인에서 잘 나타납니다. 한편, 색소녹내장(PG: Pigmentary glaucoma)이란, 색소분산증후군(PDS)에 의해서 초래되는 이차적인 개방각 녹내장의 한 형태입니다. 색소 분산 증후군(PDS)에서 전방에 떠나니는 색소들이 섬유주를 통해서 걸러지고 제거되면 문제가 .. 2022. 7. 5.
홍채 층간분리, Iridoschisis, 증상, 녹내장, 각막부종. 홍채층간분리, Iridoschisis는 1922년 Schmitt에 의해 처음보고된 질환으로, 보통 노년층에서 나타나는 일종의 퇴행성 변화로 알려져 있습니다. 양측성으로 발생하고 성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60~70대의 노년층에서 발생합니다. 간혹 외상이나 선천성 질환의 소견으로 젊은층에서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홍채 실질의 양측성 분리가 특징적인 소견이며, 하반부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홍채 층간분리(Iridoschisis)와 녹내장 1. 개방각 녹내장 층간분리된 홍채에서 염증이 발생하여, 홍채염이 발생하면, 홍채에서부터 이탈된 물질이나 염증 세포들이 섬유주를 막으면서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일반적인 개방각녹내장(open angle glaucoma, OAG) 에 준해서 치료합니다.. 2022. 7. 4.
Fuchs’ Endothelial Dystrophy, 푹스각막이상증, 푹스이영양증의 증상, 원인, 치료 녹내장, 각막이식 푹스이상증은 1910년 Fuchs에 의하여 밝혀진 질환으로, 양안의 각막내피 세포의 이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이후 안과의사 Fuchs 의 이름을 따서, 푹스 각막이상증 푹스 각막이영양증 푹스 각막내피이상증 Fuchs’ Dystrophy Fuchs’ Endothelial Dystrophy (FED) Fuchs’ Endothelial Corneal Dystrophy (FECD) 이러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국내에서는 드물지만, 미국에서는 40대 이상의 인구에서 4% 이내의 유병률을 보일정도로 상당히 흔한 질환으로, 여성에서 더 흔하게 발견됩니다. 푹스각막이상증(Fuchs’ corneal endothelial dystrophy)은 각막내피세포에 구타타(Guttata)가 관찰되고, 정상적인 각막내피세포가.. 2022. 7. 3.
PPMD(Posterior Polymorphous Corneal Dystrophy, PPCD), 후부다형각막이상증의 원인, 치료, 녹내장 각막부종 Posterior Polymorphous Corneal Dystrophy, 첫글자를 따서 약어로, PPCD라고 하기도 하고, Posterior PolyMorphous Dystrophy에서 첫글자를 따서 PPMD 라고 하기도 합니다. 문자그대로 번역하자면 후부 다형 각막 이상증 으로 번역됩니다. 각막후부의 모양이 다형태, 여러 가지 형태의 이상을 보이는 각막이상증입니다. 독일의사 Schlichting 이 발견하였다하여, Schlichting dystrophy, 슐리흐팅 이영양증, 슐리흐팅 이상증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PPMD는 흔히 양측성으로 알려졌으며 각막후면의 여러 형태의 변화와 드물게 홍채와 전방각의 변화를 초래하는 질환으로서, 특징적으로 상염색체 우성유전을 합니다 후부다형각막이상증(PPCD)은 보통.. 2022. 7. 2.
ICE syndrome, 챈들러 증후군(Chandler syndrome)과 진행성 홍채위축(Progressive essential iris atrophy) 치료, 원인 앞선 포스팅을 통해서 홍채각막내피증후군, IridoCorneal Endothelial syndrome, ICE syndrome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는 각막내피의 이상한 증식이 각막 부종을 일으키고, 전방각을 막으면서 안압상승을 일으키고 홍채위를 덮으면서 홍채의 모양이상 및 동공모양이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밝혀지지않은 단안에서나타나는 질환입니다. ICE syndrome은 홍채의 변형 정도에 따라서 총 3가지 진단명으로 분류합니다. 코간-리즈 증후군(Cogan-Reese syndrome, Iris nevus syndrome, Iris nodule syndrome) 챈들러 증후군(Chandler syndrome) 진행성 홍채위축, 본태성 홍채위축(progressive essential iris atro.. 2022. 7. 1.
홍채각막내피증후군 (ICE syndrome, iridocorneal endothelial syndrome)과 코간리즈(Cogan Reese, Iris nevus) 홍채각막내피증후군(Irido- Corneal Endothelial syndrome)은 이름그대로 홍채(irido, iris)와 각막내피(Corneal endothelial)에 이상이 생기는 증후군으로, 20대 ~ 40대의 여성에서 호발하는 원인 미상의, 편측성으로 한쪽눈에서 발생하는 홍채위축, 각막부종, 주변부홍채유착으로 이한 이차성폐쇄각 녹내장이 특징적인 질환입니다. 홍채각막내피증후군 (ICE syndrome)의 발생기전 ICE syndrome 의 발생은, 비정상적인 각막내피가 원인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비정상적인 각막내피가 전방각을 지나 홍채주변부까지 과성장하고 수축하여, 전방각을 막음으로 안압상승이 발생하고, 홍채의 모양이 변형되게 됩니다. 이때 홍채가 오랫동안 모양이 당겨지면 위축이 발생하고 .. 2022. 6. 30.
급성 폐쇄각 녹내장 발작, AACG attack 응급 처치, 수술적 치료 급성 폐쇄각 녹내장 발작, AACG attack 이 발생하게되면, 일차적으로 시행할수 있는 방법이 앞서 이야기한 약물치료와 함께 레이저 치료를 시행하는 것입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녹내장] - 급성 폐쇄각 녹내장,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AACG, 치료방법, 약물 레이저 처치 수술 하지만 약물 치료 와 레이저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결국 수술적 처치로 이어집니다. 이번에는 AACG attack 이 발생한 경우 응급적으로 시행할수 있는 처치와 수술적인 치료법들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각막함입술, Corneal indentation 이는 외래에서 시행할수 있는 가장 간단한 처치입니다. 각막의 중심부를 눌러서, 전방수를 주변부로 이동시켜, 주변부 전방.. 2022. 6.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