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상피 바닥막 이상증, corneal epithelial basement membrane dystrophy,
앞글자를 따서 EBMD라고 불리는 이 질환은,
다른 용어로
- 상피 바닥막 이상증 (Epithelial Basement Membrane Dystrophy, EBM dystrophy)
- 지도-점-지문 모양 각막 이상증 (Map-dot-fingerprint dystrophy, MDF dystrophy)
- 코간 미세낭포성 이상증 (Cogan’s microcystic epithelial dystrophy)
이렇게 불리기도 합니다.
<역학 및 임상양상 > |
각막 앞에 발생하는 이상증 중 가장 흔한 형태로,
30세 이상의 연령에서 흔하며, AD 유전 합니다.
파란색 영역: 상피 내 기저막 물질이 존재하는 부분
하늘색 영역: 상피 내 기저막 물질이 부족한 부분
초록색 점: 괴사핵과 세포질 잔해를 포함한 상피 내 낭포 (Intraepithelial cyst)로서 dot으로 불립니다.
노란색 선 : map은 각막상피내에 상피바닥막이 침투된 형태로, 상피바닥막 침투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이 모인 형태입니다.
finger print 는 상피 바닥막이 상피내에서 여러줄 평행하게 보이는것입니다.
이처럼 map, dot, finger print 의 형태로 보이기에 map dot finger print dystrophy 라고 합니다.
각막 상피의 상피바닥막의 이상으로 인해 미세한 외상에도 각막상피에 큰 손상이 가능하며,
한번 손상을 바등면 치유도 느립니다.
이에 따라서 반복각막진무름(Recurrent corneal erosion, RCE)과 상피지속결손 (persistent epithelial defect, PED)가 발생합니다.
치료 |
인공눈물, 윤활제, T-lens 를 사용할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손상된 상피 제거술(debridement), 표층각막절제술(superficial keratectomy) 를 시행합니다.
Recurrent corneal erosion (반복성 각막미란)과 동반될 경우 이에 대한 치료도 필요합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 > 각막 외안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립 각막이상증 granular dystrophy, granular corneal dystrophy (0) | 2025.03.23 |
---|---|
보우만막 각막 이상증, Corneal dystrophy of Bowman's layer, CDB (1) | 2025.03.21 |
Meesmann’s Juvenile Epithelial Dystrophy, 미스만 소아 각막 상피 이영양증, MJED (1) | 2025.03.18 |
결막판 피복 수술 (conjunctival flap surgery)의 종류, 수술방법, 치료와 합병증 (0) | 2018.05.27 |
댓글